본문 바로가기

패션/MD 관련정보

패션md를 위한 제조원가의 구성과 네고를 위한 실무팁

반응형

 

 

옷 한 벌의 원가는 어떻게 산출할까?

 

[원자재 비용, 부자재 비용, 공임] 이렇게 3가지 기본항목과 그에 따르는 [물류비, 마진, 관세, 부가세]를 포함하여 산출한다. 

 

 


1. 원자재 비용


원단 요척 * 원단가 = 원자재비용


요척 = 옷을 1벌 만드는데 필요한 원단의 양.

 

원자재 비용의 가장 큰 요소이기 때문에 요척의 협의는 중요하다. 기본 3%~5% 로스로 협의하며 생산국, 수량에 따라 차이가 있다. 생산처는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요척을 크게 가져가려고 하기 때문에 반드시 패턴실과 사전 협의가 필요하다.

 

 

 


2. 부자재 비용

 

부자재 요척(개수) * 부자재 단가 = 부자재비용


안감, 배색감등 원단부자재는 요척으로 산출하고 단추나 지퍼는 개수로 산출하며 보통 3% 로스를 인정한다.(수량이 적거나 해외생산의 경우 5%까지 협의) 그리고 봉사나 심지등 개별단가를 측정하기 어려운 자재는 공임, cm에 포함시키기도 하기 때문에 사전 계약서를 확인해야 한다.

 

 

 

 

3. 공임

 

기본 공임 + 추가공임 = 공임


담당자가 일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기준을 정해야 한다. 기본공임을 정해놓고 움직이면 업체와 네고가 편하다.

예를 들어 티셔츠 한 장 만들 때 기본 라운드를 $1이라고 정했다고 하면 절개가 하나 있을 때, 배색이 추가될 때, 트임이 있을 때 추가공임 테이블을 작성하면 된다.

 

 

실제로 공임은 인건비다.

샘플실이 아니라 공장에서 라인으로 움직이면 하루에 만들 수 있는 수량에 따라 공임이 측정된다. 난이도가 있으면 하루에 나올 수 있는 수량이 줄고 당연히 공임이 올라간다. 또 100장을 만들 때와 1000장을 만들 때는 일의 효율이 달라지므로(처음과 끝에 걸리는 시간의 차이) 공임이 다르게 측정된다.


게다가 재단했다가 프린트집 갔다가 자수집 갔다가 다시 봉제 공장으로 오는 식으로 이동이 많다면 이 또한 공임이 올라간다. 과정을 하나 거칠 때마다 이동비용이 발생하고 생산처입장에서는 한 가지를 오래 잡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 완성비용

 

공임과 별도로 폴리백, 박스테이프, 박스등 완성자재에 대한 비용이다.

다운이나 코트처럼 부피가 큰 제품의 경우 1박스에 5장 정도밖에 안 들어가기 때문에 완성비용을 높게 요구하므로 박스사이즈를 조절하거나 포장방법에 대한 협의를 해야 한다. 또한 한 박스당 적정무게가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한 점검도 필요하다. 

 

 

 


4. 관세

 

중국생산 시 기본 13% (hs 코드에 따라 별도 적용). 베트남, 미얀마등 무관세지역은 없음.

 

예전에는 중국생산 시 한국에서 재단을 해서 나가는 경우가 아니면 한국원단이든 중국원단이든 무조건 13% 관세가 부과됐다. 하지만 지금은 아태무역협정(APTA), 한중 FTA 가 적용돼서 원사지증명서(co)를 발급하면 더 낮은 과세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관세사를 통해 정확한 확인을 하는 게 중요하며 사전에 낮은 관세 적용이 가능한 경우를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티셔츠의 경우 성인복, 아동복, 남/여, 혼용률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좀 더 유리한 쪽으로 생산을 하고 신고를 하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반면, 무관세 지역인 베트남, 미얀마, 방글라데시등 제3국을 이용할 경우 작업공기를 길게 가져가야 하며 코로나나 태풍 등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경우 납기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한다.

 

 

 

 

5. 물류비

 

내륙운송비 및 고정비용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일괄 적용하며 보통 5% 책정.

 

포딩업체 비용이나 핸드캐리비용 등 이동하는데 드는 비용으로 사전에 생산처와 핸드캐리 비용 등에 대한 협의는 필요하다.(예를 들어 본사에서 보내는 건 본사부담, 생산처에서 보내는 건 생산처부담)

 

 

완사입이라면 완사입단가(원자재+부자재+공임)에 측정되는 금액이므로 협의가 필요하며 보통 3%~5% 정도로 협의한다.

 

 

 

 

6. 마진

 

생산방식에 따라 업체에 지불해야 하는 비용으로 보통 15% 적용

 

마진에 대한 정확한 비율은 업체만 알고 있다. 실제로 15%로 유지가 안된다는 게 업체 통설이지만 어쨌든 기본적으로 통용되는 마진율이며 수량이 많으면 협상의 여지가 있다.

 

 

 

 

7. 부가세

 

원가(V+) = 사전원가 * 10%

 

기본적으로 원가는 부가세 10%를 포함한 금액을 기준으로 하며 원가계산서 마지막에 꼭 추가해서 누락되지 않게 주의 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