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스타일/여행

인천 시립박물관 기획전시 피고 지고 그리고 화수 화평동

반응형

인천 시립박물관에는 '피고 지고.. 그리고 화수 화평동'이란 전시가 한창입니다. 해안가 공장지대에 둘러싸인 인천의 오래된 동네, 화수동과 화평동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전시입니다. 60년대 일자리를 찾아 모여든 노동자들의 도시였다가 이제는 재개발로 변화를 앞두고 있는 동네가 됐죠. '누군가는 기록해 두어야 하지 않을까'라는 뜻에서 준비된 특별전입니다. 

 

 

전시관 입구
2023. 7. 18 ~ 10. 15 열립니다.

 

 

이것은 무엇에 끄는 물건인고. 

 

<노동자 수평 씨의 하루>라는 주제로 어디에도 기록되지 않았던 생생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전시라 사실감이 높아요. 수평 씨가 하루를 어떻게 보냈는지 쭉 따라가면 되는데 호기심을 자극하는 물건을 발견하는 재미도 있어요. 

 

 

 

전시관 내부 모습
화수동 화평동 이야기

 

그럼에도
그 시절 활기찼던 골목길의 모습을
누군가는 기록해 두어야 하지 않을까. 

 

 

이렇게 찡한 울림을 줄 일인가. 

 

화수동, 화평동이 어디에 붙어 있는 줄도 몰랐는데 사라져 가는 이 마당에 쓸데없이 감상적이 됩니다. 

 

 

 

반응형

 

동네에 세워진 공장모습
당시 세워진 공장들을 쭉 보여줍니다

 

 

산업화의 중심에서 우리나라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된 공장은 다 이곳에서 시작됐어요. 물론 현재까지 유지하는 곳도 있고요. 

 

 

흑백사진과 공장사보

 

 

1987년에 발매된 대우가족 사보가 있네요. 

흑백사진은 한국기계공업사에서 근무했던 사람들의 모습입니다. 

 

 

일하면서 착용한 명찰

 

 

20년 넘게 유리공업사에서 일하며 사용했던 이선일 씨의 명찰.

 

 

20년 넘게 작성한 근무일기
1966년 부터 1988년까지 써온 일기

 

 

난중일기 부럽지 않은 이병우 씨의 근무일기. 

20년 넘게 써온 일기장인데 절반이 한자여서 읽을 수가 없지만.. 띄엄띄엄 읽어가며 내용을 엮어보면 돌아가신 아버지에 대한 애틋한 마음과 현장에서 일어나는 일을 기탄없이 기록했어요. 

 

 

원자재양, 9100원, 결산, 닭똥 같은 땀,, 

이병우 씨는 알았을까요. 50년쯤 뒤에 박물관에 소환돼 모든 사람들에게 공개될 줄. 

 

 

 

성냥
대한 성냥

 

 

일반 가정에 없어서는 안 될 생필품이던 성냥.

가스레인지가 나오면서 사라지고 지금은 남아있는 성냥공장이 없죠.

 

성냥개비를 겹쳐서 우물정자를 만들며 시간을 보내던 사람들, 지금은 어디에도 없는 문화잖아요. 실내금연! 😅

 

 

 

뒷골목에 있던 신직여인숙모습

 

 

화평우체국 뒷골목에는 시골에서 일자리를 찾아 올라온 노동자들을 위한 월세방이 많았다고 해요. 

그중에 현재까지도 영업 중인 신진 여인숙.

 

 

영화포스터와 표

 

 

97년 여름방학을 지켰던 이순신 장군. 

무려 표값이 1500원. 

 

양귀비는 아직도 사용하고

어렸을 때 목욕탕 가면 리도 샴푸 있었던 거 같은데.. 프로틴샴푸. 

 

 

 

배추를 쌓아놓고 팔고 있는 시장모습

 

 

화수 자유시장, 아마 김장철로 추청. 

대체 저때는 김장을 얼마나 한걸 까요? ㅎㅎㅎㅎㅎㅎㅎ 1년 중 젤 큰 집안 행사라고 불릴만합니다.  

 

 

가정집에서 사용한 살림살이
골드스타 텔레비전
가정집 부엌모습
익숙한 곤로
1978년 작성한 일기장 단면

 

 

다른 사람의 일기를 훔쳐보는 게 이렇게 재밌을 줄이야.

1978년 온 가족을 텔레비전 앞에 모이게 했던 수사반장 이야기가 일기장에 등장합니다. 무려 19년 동안 880편의 이야기를 풀었으니 안 본 사람은 없었겠죠. 선풍기 하나로도 행복했던 순간도 전달되고요. 

 

 

 

전시 팜플릿

 

 

치열했던 삶의 흔적이 담긴 동네 이야기를 생경하게 재현한 전시입니다.  쭉 둘러보는데 20분도 채 안 걸리지만 기억은 오래 남더라고요. 10월까지 전시가 열린다고 하니 틈날 때 한 번쯤 가보는 건 좋을 거 같아요. 

 

 

 

전시장 안내 및 전시정보 

 

  • 전시기간: 2023. 7. 18 ~ 10. 15
  • 전시장소: 인천시립박물관 기획전시실
  • 관람료: 무료 
  • 관람시간: 화~일, 9시~18시 (매주 월 휴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