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MD 관련정보 썸네일형 리스트형 원단 정보 - 표리구분, 식서방향, 경사 위사 구분 원단을 볼때 앞뒤구분이 쉽지 않죠, 특히 앞뒤가 같은 원단인 경우 참 애매합니다 디자이너나 엠디, 의류업계에서 일을 하기 위해서는 원단 앞뒤구분은 기본중의 기본입니다 물론 정장원단의 경우 실무자들도 어려워하며 많이 보고 익숙해져야 한다고 합니다 이론적으로 정리하지만 실제 원단과 비교해보면 조금은 도움이 될거에요^^ ▶ 직물의 표리구분(앞뒷면 구분하는 방법) 1. 일반적으로 광택이 많은 부분이 표면이다 (표면에 후가공이 들어가기 때문) 2. 모우가 적은쪽 3. 트윌이 있는 경우 좌하에서 우상이 통상적임 (트윌방향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4. 기모물의 경우 모우가 잘 정리된 쪽 5. 줄무늬 직물의 경우 줄무늬가 뚜렷한 면 6. 윤기가 있다 7. 가공된 표면이 훨씬 안정감이 있다 *싱글원단의 경우 양쪽다 사용.. 더보기 디자이너, md를 위한 패션업계 실무용어 패션업계에서 일을하고 싶다면 디자이너,md 가 반드시 알아야할 실무용어들을 소개합니다. 아직까지 의류용어에는 일본어잔재가 많이 남아있어서 발음이 낯설고 책에 나와있지 않기 때문에 실무를 하면서 하나하나 익혀야합니다 우선 빈번하게 사용하는 용어위주로 작성합니다. 1. 기본사항 샘플작업지시서(샘플작지) 디자이너가 소재와 디자인이 결정되면 샘플작지를 작성하는데 이 작지를 보고 패턴사가 패턴을 만든다 보통 손으로 대강의 그림을 그려서 작성하거나 일러스트로 도식화를 그려서 작성한다 가봉 샘플작지를 보고 만든 샘플은 샘플사가 가봉하고 가봉된 샘플은 디자이너의 보정단계를 거쳐 다시 패턴사에게 전달된다 작업지시서(작지) 메인보정이 끝난 스타일은 디자이너가 작지를 꾸미는데 기준사이즈의 스펙, 아소트(색상별,사이즈별수량).. 더보기 이전 1 2 다음